맨위로가기

잇큐 소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잇큐 소준은 1394년 교토에서 태어난 일본 임제종 승려이다. 그는 고코마쓰 천황의 사생아로, 어린 시절부터 승려가 되어 수행했다. 잇큐는 켄닌지, 미부데라 등에서 선을 배우며, 스승 카소에게서 깨달음을 얻고 법명을 받았다. 그는 파격적인 행동과 사상으로 유명하며, 성과 깨달음의 관계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가졌다. 잇큐는 방랑 생활을 하며 예술가들과 교류했고, 말년에는 다이토쿠지 주지로 추대되었다. 그는 선불교 역사상 중요한 인물로, 일본의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애니메이션 《잇큐상》과 같은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선승 - 후지와라 세이카
    후지와라 세이카는 1561년에 태어나 1619년에 사망한 일본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학문을 수용하고 하야시 라잔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유학을 강의하고 『촌철록』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일본의 선승 - 무소 소세키
    무소 소세키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에서 남북조 시대에 걸쳐 활약한 선승이자 정원 디자이너로, 고다이고 천황과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신임을 받아 겐무 신정과 무로마치 막부의 성립에 기여했으며, 유서 깊은 사찰의 주지를 역임하며 선종을 알리고 독창적인 정원 디자인으로 일본 조경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잇큐 소준
기본 정보
잇큐 소준
잇큐 소준
속성몰년기원 역대 조사 대승국사
소준(宗純)
속성몰년기원 역대 조사 대승국사
맹우(盲牛)
광운자(狂雲子)
화광매음(花狂梅淫)
묵뢰자(墨畾子)
신요자(辛醁子)
시호총민보혜국사(聰敏普慧國師)
생몰년오에이 1년 1월 1일(1394년 2월 1일) ~ 분메이 13년 11월 21일(1481년 12월 23일)
출생지야마시로국
사망지이즈미국
법명잇큐 소준(一休宗純, いっきゅう そうじゅん)
존칭잇큐 선사(一休禅師)
가계
아버지고코마쓰 천황(後小松天皇)이라고 전해짐.
어머니이요노쓰보네(伊予局)
종교
종파임제종
사승겐나(謙翁)
가소 소돈(華叟宗曇)
문화
관련 작품사카구치 안고의 소설 《불연속 살인사건》, 미야기 다니의 만화 《묵공 잇큐》, 와카와 한시를 남김.

2. 생애

잇큐는 1394년 교토 근교의 작은 마을에서 고코마쓰 천황과 하급 궁중 귀족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로 알려져 있다.[1] 어머니는 잇큐를 보호하기 위해 사가로 피신해야 했고, 잇큐는 그곳에서 하인들의 손에 자랐다. 5세 때 잇큐는 어머니와 헤어져 교토의 임제종 사찰인 안코쿠지(安国寺)의 수행승이 되었다.[1][3] 잇큐는 슈켄이라는 법명을 받았으며, 중국의 시와 예술, 문학을 배웠다.

1406년 13세에 교토 켄닌지에서 보테쓰에게 선(禪)을 배웠으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시를 썼으며, 켄닌지 지도부를 비판했다.[4] 1410년 16세에 켄닌지를 떠나 미부데라에서 세이소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나, 곧 비와호 지역 사이킨지에서 켄오의 제자가 되었다. 켄오는 좌선을 중시했다.[4]

1414년 켄오가 사망하자 잇큐는 7일간 단식 후 비와호에 투신 자살을 시도했으나, 어머니의 하인이 만류했다.[4] 이후 다이토쿠지 말사 젠코안에서 카소를 스승으로 만났다. 카소 밑에서 공안 수행, 인형 제작을 했다.[4] 1418년 '동산의 세 대' 공안을 깨달아 잇큐라는 법명을 받았다.[4] 1420년 비와호 배 위에서 까마귀 소리를 듣고 큰 깨달음을 얻었다.[4]

카소는 잇큐의 깨달음을 인정, 인가를 수여했으나 잇큐는 이를 던지고 찢고 불태웠다.[5] 잇큐는 선배 수행승 요소의 질투를 받았다.

잇큐는 술을 과하게 마시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카소는 요소에게 인가를 주고 법맥을 잇게 했다. 잇큐는 곧바로 절을 떠나 수년간 방랑 생활을 했다. 그는 저명한 예술가, 시인들과 정기적으로 교류했으며, 이 무렵 모리라는 맹인 가수와 연인 관계를 맺었다.[6]

잇큐는 공식적인 종교 기관 밖에서 선을 실천하고자 했다. 오닌의 난으로 다이토쿠지가 잿더미가 되자, 말년에 그는 이곳의 주지로 추대되었다. 잇큐는 자신의 제자들 중 누구에게도 공식적인 인가를 주지 않았다.[6]

1481년, 잇큐는 심한 학질로 87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2. 1. 어린 시절

잇큐는 1394년 교토 근교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고코마쓰 천황과 하급 궁중 귀족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로 알려져 있다.[1] 어머니는 잇큐를 보호하기 위해 사가로 피신해야 했고, 잇큐는 그곳에서 하인들의 손에 자랐다. 5세 때 잇큐는 어머니와 헤어져 교토의 임제종 사찰인 안코쿠지(安国寺)의 수행승이 되었다.[1][3] 이 사찰의 승려들은 오산선이라 불리는 방식으로 중국의 문화와 언어를 가르쳤다. 잇큐는 슈켄이라는 법명을 받았으며, 중국의 시와 예술, 문학을 배웠다.

2. 2. 수행과 깨달음

1406년 13세에 잇큐는 교토 켄닌지에서 보테쓰에게 선(禪)을 배웠다. 잇큐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시를 썼으며, 켄닌지 지도부를 비판했다.[4] 1410년 16세에 켄닌지를 떠나 미부데라에서 세이소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나, 곧 비와호 지역 사이킨지에서 켄오의 제자가 되었다. 켄오는 예측 불가능한 교수법을 가졌으며 좌선을 중시했다.[4]

1414년 켄오가 사망하자 잇큐는 7일간 단식 후 비와호에 투신 자살을 시도했으나, 어머니의 하인이 만류했다.[4] 이후 다이토쿠지 말사 젠코안에서 카소를 스승으로 만났다. 카소 밑에서 공안 수행, 인형 제작을 했다.[4] 1418년 '동산의 세 대' 공안을 깨달아 잇큐라는 법명을 받았다.[4] 1420년 비와호 배 위에서 까마귀 소리를 듣고 큰 깨달음을 얻었다.[4]

카소는 잇큐의 깨달음을 인정, 인가를 수여했으나 잇큐는 이를 던지고 찢고 불태웠다.[5] 잇큐는 선배 수행승 요소의 질투를 받았다. 잇큐의 시에서 요소는 물질에 집착, 절 번영을 위해 선을 파는 인물로 묘사된다.[5]

2. 3. 방랑과 만년

잇큐는 술을 과하게 마시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손님들에 대한 발언과 행동으로 카소를 자주 당혹스럽게 했다. 카소는 요소에게 인가를 주고 법맥을 잇게 했다. 잇큐는 곧바로 절을 떠나 수년간 방랑 생활을 했다. 그는 저명한 예술가, 시인들과 정기적으로 교류했으며, 이 무렵 모리라는 맹인 가수와 연인 관계를 맺었는데, 모리는 잇큐 말년의 연인이 되었다.[6]

잇큐는 공식적인 종교 기관 밖에서 선을 실천하고자 했다. 오닌의 난으로 다이토쿠지가 잿더미가 되자, 말년에 그는 이곳의 주지로 추대되어 마지못해 그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로써 그는 가장 중요한 선불교 법맥 중 하나의 일원이 되었다. 그러나 잇큐는 자신의 제자들 중 누구에게도 공식적인 인가를 주지 않았으며, 그의 의도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나는 지금까지 누구에게도 인가를 준 적이 없다... 그러니 내가 죽은 뒤에 누군가 내 인가를 받았다고 주장한다면, 관가에 신고하여 사기죄로 처벌받게 해야 할 것이다. 이런 이유로 나는 유언장을 통해 모두에게 사실을 알리는 것이다."[6] 생의 마지막 무렵, 잇큐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 내가 죽은 뒤 너희들 중 일부는 산림에 은거하여 참선할 것이고, 다른 이들은 술을 마시고 여인들과 어울릴 것이다. 두 가지 모두 훌륭한 선이다. 하지만 만약 누군가 전문 승려가 되어 '선이 곧 도'라는 따위를 지껄인다면, 그들이야말로 나의 적이다. 나는 단 한 번도 인가를 준 적이 없으니, 만약 누군가 내게서 그런 것을 받았다고 주장한다면 그자를 체포하라![7]

1481년, 잇큐는 심한 학질로 87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3. 사상과 신념

잇큐는 중국 선사 임제와 깊은 유대감을 느꼈으며, 일상의 평범한 활동이 불성을 표현한다고 보았다. 잇큐는 성적 욕구까지도 포함하여 이러한 태도에 영감을 받았다. 잇큐는 밀교의 육신이 곧 진정한 부처라는 관점을 받아들여 마음뿐만 아니라 몸으로도 선을 수행했다.[14]

3. 1. 비독신주의와 성(性)에 대한 관점

잇큐는 일상의 평범한 활동이 불성을 표현한다고 본 중국 선사 임제와 깊은 유대감을 느꼈다. 임제는 "대소변을 누는 것도 그저 인간다울 뿐이니, 배고프면 먹고 피곤하면 자고, 모든 상황의 주인이 되어라!"라고 말했다.[8] 야나기다에 따르면, 이는 "인간 존재의 근본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9] 잇큐는 이러한 태도에 영감을 받아 성적 욕구까지도 포함시켰다. "목이 마르면 물을 꿈꾸고, 추우면 따뜻한 외투를 꿈꾸듯이, 나는 침실의 즐거움을 꿈꾼다. 이것이 바로 내 본성이다!"라고 잇큐는 말했다.[10]

잇큐에게 성은 영적 수행의 한 형태였다. 그는 성을 욕망과 보리의 불이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았고, 이는 또한 자신의 깨달음을 시험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11] 존 스티븐스에 따르면, "잇큐에게 있어 정념은 진정한 깨달음이 단련되는 모루와 같았다."라고 하였다.[12] 잇큐는 성관계가 좌선이나 공안 수행보다 낫다고 적었다.

임제의 제자들은 결코 선의 진의를 깨닫지 못했다.
그러나 나, 눈먼 당나귀는 진리를 안다.
사랑의 유희는 그대를 불멸케 할 수 있노라.
단 하룻밤 사랑의 가을바람이 헛된 좌선 십만 년보다 낫다...

승려들에게는 억지스러운 공안과 복잡한 답변뿐,
끝없이 관리와 부유한 시주들에게 아부할 뿐.
법우들이여, 그토록 자부심 높으니 말하리라.
금란을 입은 기녀가 그대들 누구보다도 값지도다.[13]


잇큐는 또한 밀교에서 발견되는 육신이 곧 진정한 부처라는 관점을 받아들였다. 따라서 그가 선을 수행할 때는 마음뿐만 아니라 몸으로도 수행했다.[14] 연금술의 언어를 차용한 이러한 밀교적 태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색을 좋아하는 승려라 비난하는가!
뜨거운 피가 솟구쳐 정념이 가득하구나.
그러나 욕망은 모든 정념을 소진시켜
비천한 쇠를 순금으로 바꾸리라.

연꽃은
진흙에 물들지 않나니
이 이슬방울 같은 형상이
있는 그대로
진리의 참모습을 드러내노라.[15]

3. 2. 밀교적 관점

잇큐는 밀교의 육신이 곧 진정한 부처라는 관점을 받아들였다.[14] 따라서 마음뿐만 아니라 몸으로도 선을 수행했다.[14] 이러한 밀교적 태도는 연금술의 언어를 빌려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색을 좋아하는 승려라 비난하는가!
뜨거운 피가 솟구쳐 정념이 가득하구나.
그러나 욕망은 모든 정념을 소진시켜
비천한 쇠를 순금으로 바꾸리라.

연꽃은
진흙에 물들지 않나니
이 이슬방울 같은 형상이
있는 그대로
진리의 참모습을 드러내노라.[15]

4. 유산

잇큐는 선불교 역사상 가장 중요하고도 파격적인 인물 중 하나이다. 일본의 어린이들에게 그는 장난기 많고 스승들과 쇼군을 늘 능수능란하게 따돌리는 민간 영웅인데, 이는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들뿐 아니라 크게 인기를 끈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잇큐상》 덕분이기도 하다.

일본 임제선 전통에서 그는 이단자이자 성인으로 여겨진다.[16] 그는 종교적 맥락에서 을 다룬 몇 안 되는 선승 중 한 명이었으며, 연인, 기녀, 승려 간의 동성애를 포함한 사랑과 성관계가 깨달음을 더욱 깊게 한다고 주장하여 두드러졌다.[2][16][17] 그는 성이 인간의 본성의 일부이며, 따라서 위선적인 조직이나 세속적 추구보다 순수하다고 믿었다. 동시에 그는 선불교가 관료주의적 정치화를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2]

일반적으로 그는 임제선의 보화종파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 중 하나로 여겨지는데, 이는 그가 일본 중세 시대의 가장 유명한 탁발 피리 연주자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 "무라사키 레이보"라는 곡이 그의 작품으로 전해진다. 그는 일본의 다도에 큰 영향을 준 인물로 인정받으며, 중세 일본의 가장 위대한 서예가이자 수묵화 예술가 중 한 명으로 명성이 높다.

잇큐는 당시 많은 일본 작가들이 사용하던 간분으로 한문을 썼다. "내 손을 모리의 손이라 부르며"라는 시가 그 예이다.

我手何似森手 내 손은 어찌 모리의 손과 닮았는가.
自信公風流主 나는 그가 사랑의 유희의 달인임을 믿노라.
發病治玉茎萌 내가 병이 들면 그는 옥경을 치료할 수 있으리.
且喜我会裏衆 그리고 내 모임의 승려들은 기뻐하는구나.[18]


잇큐는 또한 그의 제자가 된 지옥 기녀와도 인연이 있다.[19]

5. 대중문화

도에이 애니메이션은 안코쿠지에서의 잇큐의 어린 시절 기록을 바탕으로 역사 코미디 애니메이션 《잇큐상》을 제작했으며,[20] 1975년 10월 15일부터 1982년 6월 28일까지 TV 아사히에서 방영되었다. 이 애니메이션은 일본과 아시아 전역에서 전 연령층의 호응을 얻었다. 1976년에는 그해 여름 도에이 만화 마쓰리 영화제의 일환으로 극장판이 개봉되었다.

OVA 《R.O.D》와 만화 《방과 후의 카리스마》에는 잇큐의 복제인간이 등장한다.

다니엘레 볼렐리는 저서 《전사의 길》(On the Warrior's Path) 제2판에서 잇큐를 자신의 "영웅이자 철학적 롤모델"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알면 안 되는 50가지 이야기: 종교편》(50 Things You're Not Supposed to Know: Religion)의 한 장과 팟캐스트 《History on Fire》의 두 에피소드에서 잇큐의 생애를 다루었다.[21]

일본의 만화가 사카구치 히사시는 잇큐에 관한 민간 설화를 바탕으로 《앗칸베에 잇큐》(あっかんべェ一休)라는 전기 만화를 썼다. 이 만화는 4권으로 나뉘어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었다. 만화가 톰 로빈스는 잇큐를 자신의 "우상"이라고 밝혔다.[22][23]

이외에도 PSP 게임 《GA 예술가 아트 디자인 클래스 슬랩스틱 원더랜드》(GA Geijutsuka Art Design Class Slapstick Wonderland)에서는 게임의 그림책 프로젝트 주제/최종 이야기 부분으로 어린이용 잇큐 이야기를 선택할 수 있다. 클리넥스 걸 원더는 잇큐에 대해 "Don't Cry, Ikkyu"라는 노래를 썼다.[24]가면라이더 고스트》 DVD 스페셜 《잇큐 아이콘 쟁탈전! 재치 있는 승부!!》에서 잇큐의 영혼이 등장하기도 한다. 수요일의 캄파넬라는 "잇큐상"이라는 노래와 PV를 제작했다.

참조

[1] 간행물 Kodansha Encyclopedia of Japan, entry "Ikkyū" by James H. Sanford"
[2] 서적 Basho and the Dao: The Zhuangzi and the Transformation of Haikai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3] 서적 Having Once Paused: Poems of Zen Master Ikkyū (1394–1481)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5
[4] 서적 Crow With No Mouth: Ikkyū, 15th Century Zen Master, Versions by Stephen Berg, Preface by Lucien Stryk Copper Canyon Press 1989
[5] 서적 Three Zen Masters: Ikkyū, Hakuin, and Ryōkan Kodansha International 1993
[6] 서적 Letting Go: The Story of Zen Master Tōsui, Transla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Peter Haskel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1
[7] 서적 Three Zen Masters: Ikkyū, Hakuin, and Ryōkan Kodansha International 1993
[8] 서적 Three Zen Masters: Ikkyū, Hakuin, and Ryōkan Kodansha International 1993
[9] 서적 The Hongzhou School of Chan Buddhism in Eighth- through Tenth-Century Chin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6
[10] 서적 Three Zen Masters: Ikkyū, Hakuin, and Ryōkan Kodansha International 1993
[11] 서적 Ikkyū And The Crazy Cloud Anthology, A Zen Poet of Medieval Japan, Revised and Expanded Quirin Press 2022
[12] 서적 Three Zen Masters: Ikkyū, Hakuin, and Ryōkan Kodansha International 1993
[13] 서적 Wild Ways: Zen Poems of Ikkyū, translated by John Stevens White Pine Press 2003
[14] 서적 Zen At Daitoku-ji Kodansha International 1974
[15] 서적 Three Zen Masters: Ikkyū, Hakuin, and Ryōkan Kodansha International 1993
[16] 서적 Liquid Life: Abortion and Buddhism in Jap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17] 서적 Ikkyū and The Crazy Cloud Anthology: A Zen Poet of Medieval Japan University of Tokyo Press 1986
[18] 문서 Tr. Arntzen 1987:158, note Ikkyū's use of the literary metaphor ''gyōkeihō'' 玉茎萌 "jeweled stem" meaning "phallus".
[19] 저널 The uncanny and the superflat in macabre representations: Iconographic analysis of a Kawanabe Kyosai blockprint https://en.apu.ac.jp[...] 2023-03-21
[20] 웹인용 Ikkyu-san, the Clever Little Monk http://jkllr.net/201[...] 2015-11-18
[21] 웹인용 EPISODE 45 Sex, Sake and Zen: The Life of Ikkyu Sojun (Part 1) http://historyonfire[...] 2019-03-18
[22] 서적 Wild Ducks Flying Backward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23] 서적 Opening Remarks at Northwest Bookfest 1996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1-05-01
[24] 웹인용 Don't Cry, Ikkyu http://kgw.me/trac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